마스크 해외직구 구입 시 주의점
마스크 해외직구 구입 시 주의점
코로나19로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면서 마스크를 해외직구로 구해보겠다는 소비자들이 꽤 있습니다. 실제로 해외직구로 마스크를 구입하면 그 절차가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규제를 좀 풀어주기로 했습니다. 마스크 수급을 좀더 원활히 해주고자 하는 목적이겠는데요.
마스크를 해외직구로 구입하는 데 있어서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스크 해외직구 구입 시 주의점
해외직구할 때 마스크가 특히 불편했던 점이 있었나요?
어려웠다기 보다는 시간이 좀더 오래 걸렸다는 표현이 맞겠습니다. 해외에서 산 물건이 세관을 거치게 되는데, 그 많은 물건을 일일이 검사하고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물품 가격이 150달러, 미국에서 보낸 것은 200달러만 안넘으면 보통은 목록통관이라고 해서 송장에 써있는 이름, 주소, 물품, 가격만 보고 통과를 시켜줍니다. 국내 인터넷 쇼핑하고 똑같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목록통관으로 간단하게 넘길 수 없는 물건들은 일반통관이라고 해서 정식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이게 안전이랑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마스크랑 손소독제는 의약외품, 체온계는 의료기기로 해당이 돼서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일반 통관은 수입신고서도 받고, 어떤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해서 시간이 좀더 걸릴 수밖에 없는데요.
지금 국내에서 마스크와 손소독제, 체온계가 너무 모자르다 보니깐 관세청이 일단 6월까지는 약식 절차인 목록통관으로 해주겠다고 지침을 내렸습니다.
배송이 얼마나 빨라졌나요?
약 1주일에서 10일 정도 걸리는 기간이 2~3일 정도로 단축되었다고 합니다. 세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졌으니까요. 그런데 업계에서는 계속 이렇게 짧을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습니다. 왜냐면 물건 수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원래 3월이 블랙프라이데이나 휴가와 멀어서 해외직구에서는 비수기였었는데, 워낙에 의약외품 수급이 늘고, 현지에서조차 수요가 늘어나서 발송 자체가 지연되기도 하고, 배송이 밀릴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그 동안에는 관세청에서 잡고 있었던 시간이 길었다면 이제는 현지에서 마스크 수급으로 인해서 늦어지는 경우가 더 많겠습니다.
해외에서는 마스크 구하기 쉽나요?
한국에서 코로나19가 퍼지기 시작했던 초기에는 해외직구가 확실히 유리했던 것 같습니다만 현재는 일단 가격 면에서 큰 메리트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아마존, 이베이, 알리바바에 들어가보니 우리나라 KF94와 동급의 마스크들이 싸게는 장당 2,000원에서 비싸게는 9,000원 사이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마존 같은 경우는 저렴한 물건들에 대해서는 아예 한국으로 직배송을 안해주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만 파는 것이죠.
해외 직구를 했던 분들의 후기를 들어보니 미국에서도 한 달 전보다 가격이 1.5배에서 2배 정도로 가격이 뛴 상태이고요. 품절이 뜨거나 취소했다가 다시 가격을 높혀서 올리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보니 한국이나 미국이나 상인들은 생각이 똑같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우리나라보다 가격이 싸고, 물량 자체가 많은 곳도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확보해 놓는다는 차원에서는 시도해볼 만하다고 합니다.
해외 마스크 등급은 어떤가요?
나라마다 마스크 인증 기준이 다릅니다. KF94는 한국에서 만든 등급이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다릅니다. 중요한 것은 KF94의 숫자를 기억해두시면 좋습니다. 미세입자를 몇 % 막아주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숫자인데요.
미국에서는 N95, 중국은 KN95가 성능이 비슷합니다. 유럽의 경우에는 FFP2 라고 분류된 마스크가 차단률이 비슷합니다.
뒷자리 숫자가 99, 100 이렇게 더 높은 것은 굳이 찾으실 필요 없고요. 그 아래로 중국 KN90, 우리나라의 KF80, 유럽의 FFP1 이 차례로 성능이 조금씩 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덴탈마스크 라고도 하는 의료용 부직포 마스크는 더 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데요. 이거라도 사두면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비말감염을 막는데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마스크 해외직구 시 주의점
물건의 제조국과 배송은 어디서 출발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미국의 아마존에서 구입하셨다고 하더라도 판매자의 국적이랑 지역은 천차만별이거든요. 실제로 중국 후베이성에서 제조된 물건이 배송이 돼서 이슈가 됐던 적이 있는데요.
그리고 결제 전에 배송비도 확인을 잘 해보셔야 겠습니다. 마스크 가격이 상대적으로 너무 싸서 클릭을 해보면 한국으로 가는 배송비가 40만 원으로 터무니 없이 큰 경우가 많고요.
직구 특성상 환불이나 교환이 어렵기 때문에 홍보해 놓은 내용이랑 실제 고객들이 받아본 후기가 같은지 꼼꼼이 읽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최근에는 돈만 받고 물건을 안보내준다던지 엉뚱하거나 적은 수량의 물건이 오는 사기가 종종 벌어진다고 하는데요.
그때는 카드사의 해외이용 구제 신청을 통해서 환불 받는 것을 찾아보실 수 있겠습니다. 물론 다 해결해주지는 않겠지만 일단 말은 통하니까요.
이상으로 마스크 등 해외직구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화예금통장 금리 적은 이유 (0) | 2020.03.17 |
---|---|
국내 테마파크의 테마는 무엇일까? (0) | 2020.03.16 |
마스크 5부제 약국 현장 상황 (0) | 2020.03.14 |
국내 주식형펀드 비과세 (0) | 202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