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수 증가하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

반응형

취업자수 증가하면 괜찮은거 아닌가요? 


매달 신규 취업자 수가 발표되는데, 1년 전보다 20만 명이 늘기도 하고, 10만 명이 늘기도 하고, 그때그때 숫자는 달라도 그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데요. 

그러면 계속 취업자 수가 늘게 되면 결국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은 취업을 하게 되는 것 아니냐, 그러면 기다리면 되는 거 아니냐, 무엇이 그렇게 걱정이냐 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취업자수 증가하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취업자수 증가하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말들은 계속 하지만 그래도 조금씩 늘고 있으니 그만큼은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는 뜻 아니냐는 질문입니다.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 명에서 딱 멈춰 있으면 그렇게 1명이라도 일자리가 늘어나면 좋은 것입니다. 

그러면 말씀하신 대로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인구는 매년 30만 명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늘어나는 인구만큼 일자리도 늘어나야 생각해보면 겨우 본전인 것입니다. 



인구가 30만 명이 늘었다면 일자리도 30만 개씩 늘어나냐 하는 것인가요?

1년 전보다 20만 개만 일자리가 늘어도 괜찮다는 분위기던데,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우리나라 인구는 30만 명씩 늘고 있지만 그 대부분은 60세 이상의 인구가 늘고 있는 것입니다. 

젊은이들 숫자는 비슷한데, 60세 이상의 인구만 30만 명씩 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인구 구조 입니다. 


젊은이들 숫자는 똑같으니까 일자리 숫자는 똑같아도 문제 없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 구조는 매년 크는 키에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매년 키가 크면 다리 길이도 길어지기 때문에 바지도 긴 게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년 키는 크는데 다리가 길어지는 게 아니라 머리 크기만 커지는 것과 같습니다. 

사실 그러면 바지는 안바꿔도 되잖아요. 

우리나라 인구구조가 그런 구조로 변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자리가 더 필요하다고 봐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제 더 필요하지 않다고 봐야 하는지 모호한 상황입니다. 


사람이 60세가 넘으면 그때부터는 일자리 필요없고, 취미 생활 하시면서 사시면 됩니다~ 라고 하는 게 딱 정해져 있는 원칙이라고 한다면 일자리는 더 늘어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꼭 그런 건 아니잖아요. 

60세 넘어서도 일자리 가지고 필요하신 분들도 많으니까요.


우리나라 일자리 통계는 발표될 때마다 해석하기 모호하고 논란이 계속되는 것입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