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보급률이 높으면 집을 그만 지어야 하나요?

반응형

주택보급률이 높으면 집을 그만 지어야 하나요?


주택보급률에 대한 질문입니다. 

가끔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96%라고 합니다. 

그러면 서울에 사는 100 가구 중에 4가구는 잠잘 집이 없다는 것인가요?

그럼 그 4가구는 길에서 자는 것인지요?

노숙자가 있긴 있습니다만 그렇게 많아 보이지는 않는데 말이죠.


주택보급률이 높으면 집을 그만 지어야 하나요주택보급률이 높으면 집을 그만 지어야 하나요


1. 주택보급률이 100%보다 낮으면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서울의 주택보급률 96%이라고 한다면 서울의 100가구 중에 4가구는 어떻다는 뜻이냐 하면요.  오피스텔이나 고시원에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피스텔에 살고 있는 사람은 주택보급률 계산할 때 집이 없는 사람으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통계가 그렇게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서울에 존재하는 주택 수를 계산할 때 오피스텔이나 고시원은 계산에 넣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 집에 여러가구가 모여 사는 쉐어하우스 같은 경우도 있지요?

그 집도 3가구가 한 집에 살든, 4가구가 살든 집 한 채로만 계산합니다. 

그렇다보니깐 비싼 주거용 오피스텔 많잖아요. 

그런 곳에 살고 있는 분들은 집이 없는 것으로 분류가 되니깐요. 

그렇다고 그 분들이 집이 없으니깐 집을 꼭 사야겠다고 생각치는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주택보급률이 90% 밖에 안되니깐 집이 모자르며, 집을 더 지어야 한다는 주장은 주택보급률 통계의 개념으로만 보면 틀린 것입니다. 



2. 주택보급률이 100%보다 높으면

반대로 주택보급률이 100%가 넘는 도시는 전체 집들 중에 100%가 넘어가는 퍼센티지는 아무도 안사는 빈집인 것이냐 하면요.

그렇지도 않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외국인들 많이 들어와서 살잖아요. 

불법이든 합법이든. 

그런데 이 외국인 가구는 아예 사람으로도 안칩니다;;;

그러다보니 외국인이 살고 있는 집은 아무도 안 살고 있는 집으로 간주됩니다. 

빈집은 하나도 없는데 주택보급률 100%가 넘는 경우도 생깁니다. 

주택보급률이라는 통계 자체가 참 이상한 통계인 것입니다.

전세계에서 우리나라만 쓰는 통계입니다. 



예를들어서 어느 마을에 10가구가 있는데, 집은 한 채만 있다면 주택보급률은 10%인거냐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몇 일 있다가 가보면 불편하지만 10가구가 하나의 집에 칸막이를 치든 해서 모여 살것입니다. 사람이 길거리에서 잘 수는 없는 것이니까요.

그렇게 되면 주택보급률은 100%로 계산이 됩니다. 

길에서 자고 있는 사람 없고, 모두 집에서 자고 있는 것으로 계산이 되니까요. 

주택보급률은 100%가 넘어도 얼마든지 집이 부족한 상태일수가 있고, 100%가 안되게 표현된다고 해도 집이 부족할 수 있으니 사실상 아무 것도 알려주지 않는 통계인 것입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