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는 소비만 하고 살 순 없나요
미래에는 소비만 하고 살 수 없나요?
앞으로 미래 사회에서는 일은 대부분 기계나 로봇이 하고 사람은 나라에서 준 기본소득으로 소비만 하고 살 수도 있을 것이다~ 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일은 안하고 소비만 하고 살면 참 좋을 거 같은데요. 이에 따른 부작용이나 문제는 없을지 궁금합니다.
미래에는 소비만 하고 살 순 없나요
로봇이 일하고 나는 즐기며 소비하고.
사람들이 놀고 즐기면서 돈을 쓰면 그 돈을 로봇이 벌든 기계가 벌든 누군가는 벌어갈 것이고, 그러면 그 돈을 세금으로 걷어가고, 국민들에게 공평하게 나눠주고, 국민들은 또 그 돈을 쓰고, 누군가는 돈을 또 벌고. 등등 이렇게 계속 돌아가면 좋을텐데요.
과연 좋기만 할까요?
그 와중에도 누군가는 새로운 로봇이나 좋은 기계를 발명하고, 기계 고장나면 고치는 일은 누군가는 해야 합니다. 그런데 번 돈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걷어 가면 아무도 머리 싸매고 새로운 기계를 발명하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세상이 발전하지 않겠죠.
고장난 로봇도 아무도 고치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면 고치나 안고치나 세금으로 걷어가는 돈이 비슷하니까요. 이 제도나 시스템을 잘 돌아가게 하려면 좋은 로봇을 발명하거나 기계를 잘 고치는 사람은 돈을 더 많이 벌도록 제도를 바꿔야 하는데요. 그러면 지금 세상하고 똑같습니다. 양극화도 심해질 것이고요.
물론 기계를 고치고, 새로운 로봇을 발명하는 일도 로봇이나 기계가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실 수 도 있습니다. 그런 일을 하려면 아주 똑똑한 기계가 있어야 하고, 그런 아주 똑똑한 기계는 누군가가 밤을 새서 연구를 해야 발명할 수 있는데요. 그 사람은 왜 밤을 새면서까지 그 로봇을 만들까요. 아무것도 남는게 없는데 말이죠. 이런 문제가 남습니다.
이게 음악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리는 일은 본인이 좋아서 하는 일이라서 하지 말라고 해도 밤을 새워서 하는데요. 세상의 대부분의 일은 즐거워서 아무것도 남는 게 없어도 하는 일들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그 일이 되게 하려면 인센티브를 돈으로 줘야 하는데요. 그 인센티브가 빈부격차를 만들고, 그렇다고 인센티브를 안주면 일이 안되는 그런 구조입니다.
기본소득
사실 우리나라도 정말 가난한 사람들한테는 한 달에 100만 원 정도 사실상의 기본소득을 주고 있습니다. 그 100만 원으로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게 조선시대에는 중산층 이상의 생활 수준을 누릴 만한 금액이지만 지금은 그 돈으로는 아무것도 못합니다.
기본소득으로 돈을 나눠줘도 사회가 발전하면 그 돈이 모자란 돈이 되고, 그러면 노동을 해야 하고, 그 돈 만으로 충분하게 살려면 사회는 발전을 잘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인류의 머리로 만들어낸 사회시스템은 평등하게 퇴보할 것이냐, 치열하게 냉혹한 가운데 발전할 것이냐 둘 중에 하나를 고르는 과정이었습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과 구글의 코로나 앱 (0) | 2020.04.19 |
---|---|
전동킥보드 사고 보험 논란 (0) | 2020.04.19 |
금시세, 금투자 해도 될까요? (0) | 2020.04.18 |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하락 (0) | 202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