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을 매달 꼬박꼬박 내고 있는데요. 나중에 그럼 연금은 한 달에 얼마씩 받을 수 있는지 예상수령액이 가끔 궁금해집니다. 그래서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를 통해서 조회를 해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게 조회를 해봐도 복잡하고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을 나중에 얼마나 받을 수 있으며,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등 국민연금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어디서 알 수 있나요?
'내연금 알아보기' 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인데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내연금 한눈에' 라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둘 다 국민연금을 조회할 수 있으며, 본인이 가입한 개인연금과 주택연금과 퇴직연금 모두 조회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가 필요하겠습니다.
다만 국민연금에서 운영하는 '내연금 알아보기' 사이트에서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고 신청을 하면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을 하루 뒤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급하게 오늘 조회를 하고 싶다고 하시면 금감원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시고 싶으시면 '내곁에 국민연금'이라는 앱이 있습니다. 이것을 설치하고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수익률을 많이 올려도 내가 받을 연금을 정해져 있습니다.
흔히들 국민연금이 내가 낸 돈을 열심히 잘 굴리면 나중에 받을 수령액도 많아질 것이라고 생각하시는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내가 받을 수령액은 이미 다른 공식에 의해서 정해져 있습니다. 반대로 국민연금 수익률이 아무리 저조해도 내가 받을 돈은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국민연금 수익률과 상관없이 내가 받을 수령액은 내가 낸 국민연금이 얼마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험료 라는 것은 소득에 연동되기 때문에 내 소득이 얼마나 상승을 할 것이냐, 물가는 얼마나 올라갈 것이냐, 그리고 국민연금에 가입한 다른 사람들의 소득은 얼마나 올라갈 것이냐 등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연금 수령액 계산법
일단은 국민연금이라는 것은 일반 저축과는 달리 소득 재분배의 기능이 있습니다. 저축이든 일반 보험이든 내가 10만 원을 내서 나중에 받는 돈 보다 내가 20만 원을 내서 받는 돈이 2배 큽니다. 그러나 국민연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소득이 많으신 분들의 보험료를 소득이 적으신 분들을 위해서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많이 낸다고 적게 드리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내가 낸 돈 대비 받아가는 국민연금의 비율이 많이 낼 수록 낮아지고, 적게 낼 수록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서 연금 10만 원 씩 20년을 납입하게 되면 매월 36만 원 정도 연금이 나옵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20만 원씩 같은 기간을 내게 되면 72만 원이 아니라 47만 원을 받습니다. 생각보다 많이 줄지요? 그래도 그 47만 원도 다른데 저금하시는 것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이렇게 소득재분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자들이 얼마의 소득인지 평균소득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직전 3년 동안에 국민연금 평균 소득이 얼마냐가 중요합니다. 이것을 줄여서 A값이라고 부릅니다. 국민연금 고지서에서 A값, B값 이라고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A값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분들의 3년 평균소득입니다. 그리고 그게 평균적으로 얼만큼 상승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국민연금 사이트에서 보여지는 미래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부터 조금 어렵습니다. 내가 낸 돈만 생각해서 이자가 얼마나 붙여서 나오는지 생각하면 쉬운데요. 그런데 그게 아니라 국민연금 수령 직전 3년 동안에 다른 가입자들의 평균 소득이 내 연금과 연동이 되는 것입니다. 내 연봉 상승률이 3%이고, 다른 사람들의 연봉 상승률이 5% 라면 내 연금 수령액도 5%에 맞춰서 같이 올라갑니다. 소득재분배의 기능이 거기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소득상승률에 따라서 미래에 내가 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가 3가지로 나뉘는데요. 여기에 내 소득도 영향을 미치기는 합니다. 그래서 본인의 소득은 본인이 입력할 수 있고요. 미래로 보여주는 예시는 현재로서는 직전 5년 소득률 중에 가장 낮은 것과 중간값과 가장 높은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3.2%, 4%, 4.9% 이렇게 나타납니다.
그러니깐 여기서 나오는 %가 국민연금 수익률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평균소득률이 이정도 상승했으니 이대로만 간다면 이 정도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는 것입니다.
맨 왼쪽에 현재 가치는 무엇을 나타내냐면 지금까지로 계산을 해봤을 때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미래가치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가 의미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많이 성장해서 소득이 전부다 높아지면 그게 실현화될 수 있는 것이고, 만약에 소득상승률이 떨어진다고 한다면 예시된 금액보다 적게 받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태원 클럽 코로나 통신사 기지국 데이터 활용 (0) | 2020.05.17 |
---|---|
청년 고용지원 제도 (0) | 2020.05.16 |
정부 임대주택 공급방안 (0) | 2020.05.14 |
코로나 이후 변화 정리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