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개인정보 및 시장 동향

반응형

틱톡 개인정보 및 시장 동향


동영상 공유하는 앱 중에서 15초에서 1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틱톡 이라는 앱, 들어보셨나요? 앞으로 유투브를 대체할지도 모른다는 새로운 플래폼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중국의 스타트업 입니다. 이용자가 무려 1억 2천 만 명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올해 6월 기준으로 기업 가치가 100조 원이 넘을 정도로 각종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인도와 호주 등에서 틱톡 이용을 금지하는 움직임이 있어서 틱톡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틱톡 개인정보 및 시장 동향틱톡 개인정보 및 시장 동향


틱톡 Tik Tok

동영상 플래폼인 이 틱톡 이라는 앱을 춤 추는 앱이나 웃긴 동영상 앱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그렇게 생각하시는 가장 큰 이유는 업로드할 수 있는 동영상의 길이가 15초에서 1분 정도로 짧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일반적인 컨텐츠를 소비하셨던 분들은 15초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해 하실 것입니다. 반대로 10대의 경우 15초 동안에 다른 사람들은 못 보여줄 나만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시간인 것입니다. 15분이나 150분 짜리 동영상을 올릴려면 프로페셔널 해야 하지만 15초 정도면 업로드할 만 한 시간인 것입니다. 


이런 생각으로 중국의 바이트댄스 라는 회사가 틱톡 앱을 만들었습니다. 창업은 7년째인 회사 입니다. 현재 150개국에서 인기를 달리고 있습니다. 2020년 1분기에 구글 및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수가 3억이 넘습니다. 그 동안 분기별 다운로드 수로는 역대 포켓몬고가 가지고 있었던 기록을 깼습니다. 


월 평균 이용자는 8억 명이고, 하루에 평균 8번 이상 앱을 켜고 15초 짜리 동영상이지만 평균 45분 이상 사용을 합니다. 10대 청소년들이 본인들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10대들이 틱톡을 좋아하는 이유

이른바 Z세대 특징 중에 하나인 '관심을 끄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기가 관심을 받아서 조회수가 증가하면 그것이 돈으로 바뀌는 것을 너무나도 당연하게 체득한 세대 입니다. 


우리가 유투브 라는 플래폼 처럼 어떠한 컨텐츠 라고 하더라도 관심을 받아서 구독자가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돈으로 돌아오는 구조 입니다. 이것이 틱톡에서도 비슷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틱톡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하트를 받고 팔로우을 모으면 영향력으로 마케팅을 하는 소셜커머스가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틱톡의 수익 모델은 무엇인가요?

틱톡 회사인 바이트댄스는 원래 인공지능 회사 입니다. 틱톡 외에도 원래 인공지능 기자로 유명한 회사였었습니다. 인공지능 관련된 분야에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틱톡과 관련된 수익은 챌린지 라는 것을 통해서 벌고 있습니다. 최근에 가수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 처럼 이런 챌린지들이 대부분 틱톡을 통해서 이루어 집니다. 기업에서도 자기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XXX 챌린지를 하고 싶다고 틱톡에 요청하면 틱톡에서는 해당 캠페인을 만들어 줍니다. 사용자들이 따라하면서 자연스럽게 홍보가 되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중국에서만 유명한 방식인데 영향력 있는 인플루엔서들에게 소셜커머스를 붙여 주는 것입니다. 그 안에서 라이브 커머스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최근 틱톡이 어려운 이유?

최근 인도에서 틱톡 접속이 차단되었습니다. 이유는 개인정보 보호였습니다. 중국 앱이다 보니깐 인도의 주권이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 중국 앱들을 막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틱톡과 위챗 등 중국 앱들을 차단했습니다.


 그러나 개인정보 이슈 이긴 합니다만 결국은 중국과 인도의 국경 분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깐 미운털이 박힌 중국 앱들이 차단된 것입니다. 


틱톡의 개인정보 유출

이런 논란이 계속 되자 틱톡 사장이 나와서 중국 회사이긴 합니다만 서버는 중국에 있지 않고, 싱가포르에 있다고 해명하기도 했습니다. 


개인정보 논란이 이는 이유는 바로 안면인식 때문인데요. 예전에 우리나라에서도 안면인식을 통해서 나이를 들어 보이게 해주거나 성별을 바꿔서 화면에 보여주는 앱이 인기였는데, 해당 영상이 해외의 서버로 이동해서 개인정보를 유출한다는 논란이 있기도 했는데요. 안면인식 정보가 애플의 페이스ID와 같이 해킹에 사용될 소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