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 사용처

반응형

지역화폐 사용처

요즘 긴급재난지원금 이라는 이름으로 어려우신 분들에게 지원금을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현금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지역화폐로 지급된다는 말이 있던데요.

긴급재난지원이 어떻게 지급이 되는지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화폐 사용처지역화폐 사용처



지역화폐

그 동네에서만 쓸 수 있는 화폐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지자체가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나 대구처럼 없는 곳들도 있는데 지금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상품권 처럼 종이형이 있고, 돈을 충전해서 쓰는 카드형, 또는 핸드폰의 QR코드를 찍어서 사용하는 모바일형이 있습니다. 종이보다는 카드나 모바일형이 아무래도 늘어나는 추세고 복합형이 나오기도 합니다. 


종이 지역화폐의 경우 돈처럼 사용하시면 되는데요. 카드형이나 모바일형의 경우 각자의 주머니가 있어서 카드 결제를 하거나 모바일로 QR코드를 찍으면 결제금액이 사용하려는 가게로 넘어가게 됩니다. 

가게의 규모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 신용카드 보다 수수료가 저렴하고, 이용자에게도 혜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40만원 짜리 지역화폐를 사용하면 내 주머니로 40만 원이 들어오는데 10% 할인 가격으로 36만 원만 내면 됩니다. 또 소득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어떻게 사용하나요?

한 번 적응하기가 어려우신데요. 그 후로는 사용하기 쉽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편한데요. 경기지역화폐, 인천이음, 부산동백전 처럼 규모가 큰 경우 자체 어플리케이션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대행사 어플을 통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일단 그 어플을 다운 받기 위해서 마켓에 들어가셔서 사시는 지역명 뒤에 지역화폐 라는 단어를 붙여서 검색하시면 가장 적합한 것이 나올 것입니다. 


서울의 경우 제로페이가 되는 결제 대행 어플을 설치하면 되는데요. 들어가게 되면 카드 신청을 하거나 은행 계좌를 연결하라는 지시를 따라하시면 됩니다. 계좌를 연결하고 난 후 내 계좌에서 지역화폐 주머니로 원하는 만큼 돈을 옮겨 두면 됩니다. 


플에 뜨는 QR코드를 결제할 때 보여주시거나 신청한 실물 카드가 도착한 경우 신용카드 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잔액이 얼마인지는 어플로 확인하실 수 있고, 충전도 어플로 할 수 있습니다. 대신 한 달 충전 상한액이 50~100만 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해당 지역에 사업자로 등록된, 그러니까 그 지역에 세금을 내는 연매출 10억 이하의 업체 라면 쓸 수 있습니다. 백화점이나 기업형 슈퍼마켓이라면 안되고요. 프랜차이즈나 편의점도 직영점은 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이니깐 사용이 안됩니다. 

넉넉하지 않은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가게에서만 쓰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유흥업소나 사행성,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결제가 안됩니다. 


다만 서울의 경우 서울사랑상품권 이라는 이름으로 지역화폐가 나오는데요. 기존에 소상공인들을 위한 제로페이 라는 것이 있었는데 제로페이를 쓸 수 있는 곳에서만 지역화폐를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로페이는 서울에 세금 내는 모든 곳에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청을 한 소상공인에 한 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 미리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포털 사이트 지도에 들어가셔서 '제로페이 가맹점' 이라고 검색하시면 내 주변에 있는 가맹점이 표시됩니다. 


지자체 마다 내용이 달라서 내가 사는 지자체 홈페이지나 기사 검색으로 세부사항들을 한 번 정도 훑어 보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사랑상품권은 각 자치구 별로 있는 마포사랑상품권, 용산사랑상품권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그러니까 서울 시 안에서 다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 안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포사랑상품권을 가지고 용산구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경기지역화폐도 그 안에 고양페이, 성남사랑상품권 등으로 나눠져 있어서 해당 시군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천시는 이음카드를 인천시 전체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요. 대신에 선택한 자치구 안에서 인센티브를 좀더 주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부산동백전은 부산시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