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항체의약품 기업 정리

반응형

중국 항체의약품 기업 정리


항체 의약품은 무엇인가요?

우리 몸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특정한 균을 체액성 면역 반응이라고 해서 항체 반응을 합니다. 이 항원을 공격하거나 무력화 시키거나 다른 면역 세포를 끌여들어서 무력화시키는 것을 항체라고 합니다. 이러한 항체의 특징을 인공적으로 만든 것을 항체의약품 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중국 항체의약품 기업 정리중국 항체의약품 기업 정리


항체의약품의 특징

기본적으로 항체 라는 것은 항원에 달라 붙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특징으로 인해서 항체의약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특이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목표하고 있는 물질에 붙어서 무력화시키는 것입니다. 그 특이성이 높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두 번쨰는 안정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인 합성의약품에 비해서 대사되는 과정에서 우리 몸의 단백질과 비슷하다 보니깐 간이나 신장 독성 같은 면에서 더 좋습니다. 


우리 몸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들어올 경우에 코로나 바이러스 주변에 스파이크 단백질이라고 뾰족뾰족 틔어 나온 단백질이 있습니다. 이게 정상 세포에 들어가려면 스파이크 단백질이 수용체와 딱 맞아들었을 경우에 세포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 지금 만들어지고 있는 항체의약품은 이 스파이크 단백질에 들러 붙어서 정상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안으로들어가지 못하도록 합니다.  


항체의약품이 최근에 발전한 계기

처음 항체의약품은 1980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그것은 마우스 항체였습니다.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을 할 수 없어기에 쥐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기술들이 계속 발전되면서 점점 인간화 되었습니다. 



그러면 암도 고칠 수 있나요?

어떤 기전에 의해서 발병되는지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암도 여러 가지 팩터들에 의해서 발병을 하게 되는데요. 우리가 어떤 특정 타겟을 삼어 항체의약품을 만들었는데, 그거 외에 다른 항원에 대해서 암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암을 발생시키는 특정 타겟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후에는 그 특징에 맞게 항체의약품을 만들 수 있으니까요. 


중국 의약품 업체의 현황

지금까지는 글로벌 제약 회사들이 블록버스터 의약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이제는 중국 업체들이 많이 따라 왔습니다. 중국 시장 자체가 항체 의약품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전체 글로벌 항체의약품 시장은 원화로 160~170조 원 입니다. 그런데 중국 시장은 3조원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글로벌 시장의 1.7%였습니다. 이때는 글로벌 오리지널 제약회사에서만 만들었기 때문에 비싸서 많이 사용하지 못했었습니다. 비싸니깐 정부에서 지원도 해줄 수 없었고요. 그런데 2018년도 부터 시작해서 본격적으로 중국 항체의약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입장에서는 항체의약품의 국산화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중국에서 어느 정도로 빨리 항체의약품 시장이 커지고 있는 3가지 측면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는 항체의약품 임상 실험 자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3년도 기준으로 임상실험이 70건 정도 밖에 되지 않았는데, 2020년에는 700건 가까이 올라왔습니다. 10배 가까이 성장했습니다. 글로벌 기준으로 봐도 전체 글로벌 임상 실험 중에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5%까지 늘어났습니다. 기본적으로 의약품 이라는 것은 임상 실험을 통해 출시가 되기 때문에 임상 실험이 많다는 것은 출시될 가능성이 많고 그것이 중국산이다 라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중국 제약회사 자체 개발하는 신약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허가 만료되어 바이오시밀러 하는 약들이 아니라 자체 개발 신약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면역 항암제를 출시하는 회사가 글로벌 10개 회사인데요. 그 중에 6가지가 글로벌 업체고, 나머지 4개가 중국 업체입니다. 그 4가지 업체는 준시, 항서제약, 이노벤트, 베이진 이라는 회사 입니다. 2018년도 하반기 부터 출시됐습니다. 


이 4개 회사의 매출액이 올해 140% 늘었습니다. 4개 회사 매출액을 다 합치면 원화로 7,000억 원 정도 됩니다. 굉장히 많이 팔린 상황입니다. 글로벌 업체들도 열심히 개발하고 있지만 중국 업체들이 잘 따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걱정되는 부분

이런 고성장 자체가 이미 많이 주가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물론 글로벌 제약회사들 보다는 쌉니다. 주가가 많이 올라왔다는 점 말고는 다른 리스크 요인은 없어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