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

반응형

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


갑작스럽게 화이자에서 코로나 백신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일종의 게임 체인져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좀더 지켬봐야겠지만 지금 나온 상황으로는 그렇습니다. 공교롭게도 트럼프 입장에서는 속상할 수도 있겠습니다. 


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


로테이션일까 키높이일까

코로나 초반에 주가 상승이 많이 발생한 성장주 위주에서 가치주와 중소형 주들의 상승으로 이어가다가 다시금 성장주들로의 모멘텀에 쏠리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백신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일종의 역회전이 걸린 측면이 있습니다. 중소형주나 그동안 못올랐던 주가들이 더 빨리 올라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 나타나는 양상은 로테이션일 수도 있고, 그 동안 코로나로 많은 타격을 받았던 중소형주들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로테이션이냐 키높이냐 무엇으로 상황을 판단하느냐에 따라 대응 전략을 살짝 다를 수 있습니다. 


로테이션은 롱숏의 개념이기 때문에 한쪽은 팔고 다른 쪽을 사야 합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좋은데 키높이를 맞춘다고 한다면 굳이 팔 필요는 없겠습니다. 


저희가 보기에는 이 사건 자체는 중요한 마일스톤일 수가 있고, 굳이 로테이션 보다는 그동안 눌렸던 쪽이 키높이를 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봅니다. 


주의점

지금 이런 기대감 때문에 코로나 피해주들이 단기적으로 치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런 상승세가 좀더 갈 수도 있습니다만 이런 코로나 피해주들이 실적으로 확인될 때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입니다. 백신이 개발 되었다고 해도 전세계인이 다 맞을 수도 없을 것이고, 보급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고, 백신을 맞았다고 하더라도 완전한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두번째 고민은 정책 대응입니다.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이 그동안 워낙 많은 역할을 해주었지만 가장 중요한 논리는 코로나에 의한 피해였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큰 빚이 나왔다고 한다면 특히 재정정책에 있어서 상원을 차지하는 공화당이 무리한 재정정책에 대해서 반대 입장을 펼칠 것입니다. 기대했던 재정보다 조금더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번쨰는 코로나 백신이 나온다 하더라도 이미 영구적으로 손상된 경제의 일부분은 다시 되돌아 갈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살아남은 기업들은 회복할 수 있겠지만 이미 폐업한 상점들은 회복이 어렵겟죠. 


화이자의 백신이 제대로 된 백신이라고 한다면 이 사건은 굉장히 큰 마일스톤이고 게임 체인져가 될 것입니다. 그 동안 억눌렸던 내수주나 중소형주에 대해서 조금더 올라올 것입니다만 계속 그 상승세를 이어갈지는 조금더 살펴봐야겠습니다. 




개인투자 입장

앞서 말씀드린대로 화이자의 백신은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높으나 중소형주들의 주가 상승은 굉장히 빠른 시간 안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개인투자자들이 따라붙기에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코로나가 있던 없던 백신이 나오던 간에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보여주고 있는 빅테크 성장주들은 당분간은 키높이를 맞출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성장을 할 것입니다. 9.11 테러가 전세계인들에게 안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줬다면 이번 코로나는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깨워주고 있으며, 그 전으로 돌아갈 수 없기에 기존의 성장주들은 팔지 말고 그대로 가지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환율 영향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달러는 아무래도 약해지면서 원화의 강세는 좀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준의 대응

코로나 백신이 나왔으니 금리를 올린다거나 그 동안 많이 풀었던 유동성을 거둬들이는거 아닌지 걱정하시는 분들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연준은 중앙은행으로 이런 사건을 두고 선제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은 낮습니다. 연준의 목적인 인플레이션 2%를 약간 넘어갈 수 있는 경제환경이 어느 정도 가시권에 들어와야 움직일 것이고, 그 전까지는 기존의 스탠스를 유지할 것입니다. 백신이 성공적으로 개발이 된 것이라고 한다면 연준에서 금리를 더 낮출 가능성은 아마 적어질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전기차 산업 정리  (0) 2020.11.13
원달러 환율 전망  (0) 2020.11.12
임대차 보장기간 3+3  (0) 2020.11.10
중국 클라우드 산업 전망  (0) 2020.1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