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ETF
연금저축펀드 ETF 투자
여러분들 모두 은퇴를 위해서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은 자동으로 부어지고 있을 것입니다. 별도로 개인연금을 따로 가입해서 붓고 계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이 개인연금은 노후에 쓸거니깐 안전하게 신탁이나 보험 쪽에 넣어두신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런 상품의 수익률은 연 1% 정도 밖에 안됩니다. 저금리 때문인데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ETF로 연금까지 갈아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연금계좌를 이전하는 것이 좋은지, 방법은 무엇인지,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ETF 투자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이라 함은 연금을 받기 위해서 저축하는 계좌를 말합니다. 그런데 ‘연금저축’ 이라는 4글자가 들어가게 되면 연말정산 할때나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냥 보험사에서 가입을 하고 ‘연금저축’ 이라는 4글자가 안들어간 연금보험은 이런 세액공제 없이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오늘 이야기하는 소득세를 공제해주는 연금저축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예전에는 연금저축 중에서도 종류가 여러가지였습니다. 은행에서 하는 신탁이라는 것이 있었고, 증권사에서는 연금저축펀드, 보험사에서는 연금저축보험이 있습니다. 그런데 연금저축신탁은 현재는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 이제는 경계가 허물어져서 은행에서도 증권사에서 취급하는 연금저출펀드를 다루기는 합니다.
사실 연금저축신탁, 펀드, 보험을 구분하는 기준은 가입하는 장소가 아니라 계좌 안에서 굴리는 상품의 종류가 핵심입니다. 은행에서 가입을 했다 하더라도 펀드로 굴릴 수 있는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
보통 직장인들의 경우 연말정산시 헤택을 받기 위해서 연금저축펀드가 아니더라도 연금저축보험 정도는 가입을 하나씩 하셨을 것입니다. 1년에 400만 원 한도라 월 33만원 정도를 많이들 하셨을텐데요. 이런 분들도 연금저축펀드로 갈아 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더이상 주식이 오르는 것을 지켜만 볼 수는 없다는 생각이실텐데요. 아무리 연금저축펀드 라고 하더라도 주식 개별종목에 직접 투자하실 수는 없습니다. 보통은 은행 가서 가입할 수 있는 공모펀드가 일반적이고 그 외에는 ETF에 투자할 수 있는 증권사들도 많이 늘어났습니다. 연금저축펀드를 취급하는 증권사가 31개 정도 되는데요. 그 중에서 ETF에 투자할 수 있는 곳이 8개 정도 됩니다. 개수에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에 상장되어 있는 ETF에 투자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연저축펀드로 갈아타려면
주식형펀드에 투자를 하려면 연금저축보험이나 신탁에서 펀드로 갈아타야 하는데요. 보통 갈아타려고 하면 이전 계좌를 깨고 새로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연금저축의 경우 지금까지 세금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기존에 받았던 세액공제 혜택 그 이상을 토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연금저축의 경우 깨지 않고 옮길 수 있는 계좌이전 제도가 있습니다.
갈아타는 절차는 굉장히 간단해졌습니다. 새롭게 개설하려고 증권사에서 새로 계좌를 개설하려고 하는데 다만 이전 계좌를 옮기려고 한다고만 하면 됩니다. 다만 이전 증권 번호나 계좌 번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증권 번호만 알려주면 두 기관끼리 알아서 연락해서 신청한지 2~3일 내로 처리가 됩니다.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하나요
위의 절차를 통해서 보험이나 신탁에서 펀드계좌로 옮겼다면 이제는 어떤 펀드에 투자를 할지 골라야 하는데요. 중간에 투자수익률을 보고 변경할수도 있습니다.
이런 변경을 간단히 휴대폰으로도 누워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변경하는 시간은 정해져 있습니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경우 8시부터 17시까지, 해외 주식형 펀드의 경우 9시부터 17시까지 입니다. 그 시간 안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다만 펀드의 경우 매달 자동이체를 걸어놓으면 정해 놓은 펀드에 자동으로 불입이 되지만 ETF의 경우 자동으로 매수를 하지는 않습니다. 매달 들어가서 매수를 해야 합니다.
펀드 변경 수수료
펀드를 변경하려고 할때 수수료가 비싸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수료는 없습니다. 펀드에 녹아져 있는 보수가 보통 0.5~1% 있기는 합니다만 변경한다고 해서 별도의 수수료를 받지는 않습니다. ETF의 경우 주식 계좌에서 거래 수수료 받는 것처럼 수수료가 있기는 하지만 증권사 별로 이벤트성으로 1년 동안은 무료로 해준다는 증권사가 있습니다. 그런 이벤트 기간이 끝나면 수수료는 내 연금계좌 안에 있는 예수금에서 빠져 나갑니다. 수수료율은 많이 받아 봐야 0.014% 정도 됩니다. 티는 안나는 수준입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BC 가상화폐 (0) | 2021.01.02 |
---|---|
2021년 투자전망 (0) | 2021.01.01 |
비트코인과 브렉시트 (0) | 2020.12.29 |
미국 주식 해야 하는 이유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