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GDP, 잠재 GDP는 뭔가요?
실질GDP는 뭐고 잠재 GDP는 뭔가요?
경제 뉴스를 듣다보면 우리나라의 실질GDP, 잠재GDP 이런 용어들이 들리던데요. 실질GDP는 뭐고 잠재GDP는 뭘까요.
1. GDP란?
GDP라는 개념은 쉽게 말하면 1년 동안 우리나라에 사는 사람들이 열심히 번 돈의 총량이라고 생각하시면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1년 동안 우리나라 국민들이 돈 되는 일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모두 쌀농사만 짓는다고 가정하면 1년 동안 수확한 쌀을 돈으로 환산한 것이 GDP 입니다. 농약도 안치고 비료도 안썼으면 쌀값 그 자체가 GDP고 농약이나 비료를 수입해서 썼으면 농약값, 비료값은 빼고 순수하게 우리 땀이 만들어낸 땀의 가치가 GDP입니다.
2. 실질GDP, 명목GDP, 잠재GDP
그럼 그 GDP 앞에 실질GDP, 명목GDP, 잠재GDP 이런 용어도 있는데 그게 뭐냐면요. 조금 전에 설명 드린 우리나라 국민들이 쌀농사만 짓는다고 가정했을 때 수확한 쌀 가격 다 더한 것이 사실은 명목GDP 라는 거고요.
작년에는 1조원어치 쌀을 수확했는데 올해에는 1조2천억원어치 쌀을 수확했다면 경제가 20%가 성장한거냐 하면 그건 아니잖습니까. 쌀 생산량은 작년하고 똑같은데 쌀값만 20%가 올라서 저울에 달고 계산해봤더니 1조 2천억원어치가 될 수도 있으니 쌀 수확량에서 물가 상승률을 제외하고 진짜 우리 국민들이 쌀을 얼마나 더 생산했는지 그걸 계산해야 하는데 그래서 물가 상승률은 제외하고 계산한 GDP가 실질GDP 입니다. 보통 우리가 뉴스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몇 % 였습니다~ 라고 발표하는게 물가 상승률은 빼고 나서 계산한 실질GDP를 우리가 그냥 GDP라고 인정을 합니다.
그럼 잠재GDP라는 게 뭐냐. 이게 참 애매한 개념인데요. 실제 성적과는 무관하게 이 정도 노동력과 이 정도 땅이면 이 정도는 나왔을텐데 하고 가상으로 계산한 GDP입니다. 스포츠 선수로 치면 평소 실력이라고 할 수 있겠고, 수험생이라면 평소 성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걸 나라로 치면 잠재 GDP 인데요. 아무도 정확하게 숫자로는 모릅니다. 대강 추산해보는 건데, 전문 학자들마다 추산액도 다르니 정답은 없는 것입니다.
학생이라면 평소에 70점쯤 받는 학생이 80점 받았으면 어휴 잘했네~ 하는 거고요. 90점 받던 학생이 80점 받았으면 이번에는 좀 못했네~ 그럴 수 있는데. 학생이야 평소 성적이라는 게 있는데 국가 경제는 평소 성적이라는 게 참 애매한 개념이니 잠재 GDP를 계산해 보는 건데 그래서 대강은 최근 10년 동안 그 나라 성장률을 보면 그게 대략의 잠재 성장률이 되긴 합니다. 물론 아무도 정확하게 계산은 못하는 개념입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 양도세, 내년 4월부터 얼마 내나요 (0) | 2017.12.07 |
---|---|
어렵고 헷갈리는 상가권리금 (0) | 2017.12.06 |
금리 인상기 재테크 전략 (0) | 2017.12.05 |
기준금리가 오르면, 카드사와 보험회사에는 어떤 영향이? (0) | 201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