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을 투입하면 원금에 이자까지 받나요?
팟캐스트,/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2018. 6. 17. 12:59
반응형
공적자금을 투입하면 원금에 이자까지 받나요?
가끔 어딘가에 공적 자금이 투입된다는 뉴스를 듣게 되는데요. 투입되고 나면 나중에 이자까지 쳐서 받는건지 궁금합니다.
공적자금 투입하면 원금에 이자까지 회수하나요
1. 공적자금 170조 원
우리나라에 지금까지 투입된 공적자금을 통계로 보니까 170조 원 입니다. IMF 외환위기 때부터 넣기 시작했던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중에 100조 원 정도 회수됐고, 나머지는 아직 못 받고 있습니다. 회수된 것도 이자는 못 받고, 그냥 원금만 받고 있는 겁니다.
2. 공적자금에 관한 오해
이유는 공적자금 관련해서 몇 가지 오해가 있는데요. 우리는 공적자금을 재벌이나 은행들한테 투입하는 혈세, 그러니까 이자까지 꼭 받아내야 하는 돈 이라고 생각하지만요. 공적자금 중에는 은행이나 재벌한테가 아니라 그냥 국민들한테 쓴 돈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투입된 170조 원 중에 50조 원이 그렇게 투입된 돈입니다.
3. 국민한테 쓴 공적자금
이게 어떤 돈이냐 하면요. 지금은 은행이 망해도 5,000만 원가지는 보장을 해주잖아요. 그런데 외환위기 제도 이전에는 이 예금자보호 제도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 은행들이 막 망하려고 했는데, 망하면 예금했던 돈을 다 떼이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근데 그럴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예금자들에게는 금액이 6,000만 원이건 6억 원이건 다 돌려줬습니다. 그 돈이 은행금고에는 없던 돈이니까 공적자금에서 나온 돈입니다.
당시에 망한 은행에 예금했다가 무사히 이 돈 돌려받으신 많은 국민들 나라에서 그 돈 빨리 갚고 이자까지 갚으세요~ 라고 전화 안오지 않습니까. 우리의 공적자금은 그렇게 투입된 것도 있습니다.
4. 기업이나 은행한테 쓴 공적자금
나머지 공적자금 120조 원은 이자까지 쳐서 빨리 받아내야 하는데요. 이 돈은 지분으로 바꿨습니다. 지분을 들고 있으면 주가가 나오거나 배당이 나오지만 이자는 이제 안나오잖아요. 그래서 이자는 따로 못 받고 이 은행, 이 회사 잘 돼서 팔려고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 회사가 망하면 펀드에 맡긴 내 돈은 찾을 수 있나요? (0) | 2018.06.20 |
---|---|
지자체 예산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에 쓰이나 (0) | 2018.06.18 |
호텔 등급은 어떻게 결정할까 (0) | 2018.06.16 |
2018 러시아 월드컵 중계권료 (0) | 2018.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