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는 유료/무료, 은행용/증권용 다 따로인가요?

반응형

공인인증서는 유료/무료, 은행용/증권용 다 따로인가요?


오늘은 공인인증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인인증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쓰이는 신분증인데, 신분증이면 1인당 하나만 가지고 다니면 되지, 왜 그렇게 종류도 여러가지고, 유료도 있고, 무료도 있고, 은행용도 있고, 증권용도 있고, A은행에서 받은 공인인증서를 B은행에서 쓰려고 하면 왜 또 타기관인증서를 등록하라고 하고, 왜 그렇게 번거로운 걸까요. 그냥 신분증처럼 딱 하나 통일해서 쓰면 안되려나요?


왜 공인인증서는 유료무료, 은행용증권용 다 따로인가요왜 공인인증서는 유료무료, 은행용증권용 다 따로인가요


공인인증서 종류가 다양한 이유

공인인증서 종류가 여러가지인 것은 이 인증서를 여러 민간 기업에서 만들어서 팔기 때문입니다.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처럼 정부에서 만들어서 나눠주는 것이면 종류도 한 가지고, 공짜였을 수 있겠는데요. 민간기업들이 만들어서 보급하다보니 그분들은 월급을 어디선가 벌어야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유료로 만들어서 파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분증을 유료로 팔자니까 서로 좀 어색하기도 하고, 우리가 받아들이기 어려워서요. 그래서 은행 거래만 하거나 증권 거래만 하는 제한된 용도로만 쓰는 것은 무료로 풀어놨습니다. 그러다보니 돈을 어디서 벌지 라는 고민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은행이고 증권이고 가릴 것 없이 모든 용도로 다 쓸 수 있는 건 유료로 팔고, 그냥 간단한 용도로만 쓰이는 것은 무료로 팔자고 정한 것입니다. 그러다보니까 은행용, 증권용, 무료, 유료 헷갈리는 것입니다. 


마치 운전면허증이 시내 운전면허증, 고속도로용 따로 있는 것처럼요. 시내와 고속도로를 다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유료로 한 것과 비슷합니다. 지금이라도 공인인증서를 다 5,000원씩 내고 쓰자~ 민간기업이 만든 것이니 돈 내고 써야지 이렇게 정하면 공인인증서는 딱 한 가지로 쓸 수 있겠습니다. 


공인인증서 타기관 등록은 왜 필요한가요?

어디든지 다 통용되어야지 A은행에서 받은 것을 다른 은행에서 쓰려고 하면 타기관인증을 거쳐야 합니다. 왜 그런가요?

우리는 처음 가는 은행에 가면 직원한테 신분증만 보여주면 해결되는데, 온라인에서는 왜 이미 발급 받은 공인인증서를 어디에 막 등록하라고 합니다. 이게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이게 사실은 타기관 인증서는 못믿겠으니 다시 인증 받으라는 뜻이 아니라 타기관 인증서를 등록하는 과정이 은행 가서 창구에서 우리가 신분증 제시하는 것과 똑같은 과정입니다. 그런데 은행에 가면 신분증만 내밀면 끝인데, 타기관 인증서를 등록하려면 이것저것 복잡한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것이죠. 그렇게 차이가 있는 이유는 우리가 은행에 가면 은행 직원이 우리가 해야할 복잡한 일들을 대신 해주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은행에 가면 신분증만 보여주면 되는데 왜 공인인증서는 타기관등록을 그렇게 복잡하게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은행에서는 은행원들이 친절하게 다 해주셔서 그렇습니다. 공인인증서는 그렇게 대신 해주는 은행원이 없어서 직접 해야 하는 것입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