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서비스 상용화 진행 상황
5G 서비스 상용화 진행 상황
새로운 이동통신 서비스 5세대(5G) 서비스가 상용화되려면 우선 3가지가 준비되어야 합니다.
일단 이동통신망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고요. 또 우리가 들고 다니는 휴대폰 단말기도 보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한 달에 얼마쯤 받는지 요금제가 확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시작을 할 수 있겠지요.
각각의 것들이 어떻게 진행되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G 서비스 상용화 진행상황
1. 지난해에는 올해 3월 중에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상용화된다고 했었습니다. 현재는 한 두 달 미뤄지는 분위기 입니다. 이유는?
먼저 말씀드리자면 4월 5일 5G 서비스 출시를 확정지었습니다. 확정하게 된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단말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3월에 출시하기로 목표를 정해놨던 것인데, 기술이라는 것이 개발하다보면 늦어지도 하니까요.
직접적인 연기 원인은 단말기 개발 과정이었습니다. 통신망 같은 경우는 큰 문제가 없었고, 요금제와 관련해서 이동통신사들과 정부의 관점의 차이가 있어서 논쟁이 발생했었습니다.
2. 5세대 통신망은 다시 깔아야 하나요? 아니면 기존 LTE망을 이용할 수 있나요?
초반에는 같이 사용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코어망이라고 기지국은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신호를 보내주고, 그것을 다시 받아서 유선으로 신호를 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유선으로 처리하는 코어망은 당분간은 LTE 망을 쓰고 기지국만 5G 기지국을 붙여서 쓰다가 올해 말에서 내년 초에는 코어망까지도 5G로 바꾸는 계획입니다.
3. 당분간 LTE망을 사용하면 속도는 잘나오나요?
지금 LTE 최고 속도가 1Gbps 입니다. 5G 망과 붙여서 쓰면 2Gbps 정도 나오게끔 되어 있습니다. 2배 정도 빨라집니다.
4. 전국 어디에서나 똑같나요?
5세대 스마트폰 사서 5세대망을 쓰더라도 전국 어디에서나 속도가 똑같이 나오기는 보기 어렵습니다. 이동통신사들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을 중심으로 망을 깔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 명동에서는 5G 속도를 충분히 즐길 수 있겠지만 지방에 가면 통신이 아예 안되는 것이 아니라 LTE 모드로 LTE 속도를 제공할 것입니다.
5. 그럼 어디만 되나요?
지금 목표로 하는 것은 전국 85개 주요 시에서 5G 속도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서울도 중심부는 되는데 외곽으로 넘어가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는 뜻입니다.
6. 요금제는 무슨 문제로 아직 결정이 안되나요?
정부가 관여를 하는 대표적인 분야가 이동통신 분야 입니다. 약간의 관점이 차이가 있습니다. 이동통신사들은 5G 초반에는 통신망을 촘촘하게 구축된 상태가 아니고, 아직은 불확실한 상태이다보니 몇 개 단순한 고가 요금제를 몇 개 내서 얼리어답터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5G가 초반이라도 해도 중저가 요금제까지 다 갖춘 상황에서 출발을 해야지 온국민이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해서 요금제를 다시 가져와봐라 라고 논쟁 중에 있습니다.
7. 요금제를 얼핏 보니 150GB에 7만 5천 원, 200GB에 9만 5천 원, 300GB에 12만 5천원 으로 시도를 했더군요. 요즘 LTE 요금제도 물론 무제한도 있지만 10GB, 8GB 이렇게 쓰는데, 5세대 이동통신은 100단위의 데이터가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용량이 많이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이유는?
이동통신사들이 먼저 시뮬레이션을 거쳤다고 봅니다. 2012년에 3G 이동통신 끝물에 600MB 정도 썼습니다. 지금은 LTE 마지막 단계인데 거의 몇 10배로 늘어서 1인당 8GB 정도 사용합니다. 그래서 5G에서는 10배 정도 늘려서 100GB 정도 필요하지 않을까 시뮬레이션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에서 측면에서 보자면 유투브 라던지 동영상 서비스가 많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는데요. 앞으로 5G 서비스가 되면 가상현실, VR, 초고화질 영상이 일상적으로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초반에는 우리가 아직 실감이 나지 않지만 5G 운영을 하려면 100GB 정도는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것입니다.
8. 단말기 가격은 얼마인가요?
첫 단말기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10+ 5G 라는 폰인데요. 140~150만 원대로 예상합니다. 아직 발표는 나지 않은 상황입니다.
9. 화면 해상도도 초고화질 영상을 충분히 표현할 정도로 좋아졌나요?
기존 대비 많이 좋아졌습니다. 4K 영상을 무리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정도 입니다. 그리고 화면 크기도 커졌습니다. 폴더블 폰을 준비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 입니다.
10. 삼성전자 외에 다른 회사들은 5세대 단말기는 언제 출시하나요?
순차적으로 나올 것입니다. 삼성전자에 이어서 LG전자도 곧 나올 것이고요.
11. 5세대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하면 장점이 뭔가요? 전용 콘텐츠가 있나요?
이 부분이 단말기, 통신사 업체들도 굉장히 고민스러운 점입니다. 5세대 출시에 앞서서 VR이라던지 클라우드 분야도 눈 여겨 볼 만합니다. 통신속도가 빠르고, 지연시간이 적기 때문에 게임을 빠른 반응속도에 맞춰서 즐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상반기에 5세대 출시에 맞춰서 대거 등장할 예정입니다. 반대로 예기하면 사도 2~3달 동안은 특별히 할 것은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5G 서비스 어디까지 왔는지 살펴봤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잉사 737 맥스 기종과 중국 (0) | 2019.03.25 |
---|---|
신용카드 결제 때 사인만 해도 안전하나요? (0) | 2019.03.24 |
청약 미계약 잔여물량 확인 (0) | 2019.03.21 |
왜 비행기표는 시시각각 가격이 변하나요 (0) | 2019.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