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오버 비용

반응형

롤오버 비용

국제유가가 많이 떨어져서 국제유가가 앞으로 많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오른 만큼 똑같이 가격이 상승하는 원유 ETF 라는 상품이 있어서 거기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여기에는 롤오버 비용이라는 게 있어서 투자할 때 그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합니다. 원유 ETF에 롤오버 비용이라는 것은 무엇이고, 왜 생기는 궁금합니다. 

롤오버 비용롤오버 비용


원유 선물

사실은 원유 가격이 오르는 것에 배팅해서 돈을 버는 제일 쉬운 방법은 그냥 원유 사다가 땅에 뭍고 나중에 값이 올랐을 때 팔면 됩니다. 그런데 그런 비용은 창고 비용도 들고, 땅도 파야 하고, 운송비용도 들고, 무겁고 더럽고 힘듭니다. 


그래서 원유는 깔끔하게 원유 선물이라는 것으로 투자를 합니다. 이게 어떤 방식이냐면 그냥 투자자들끼리 만나서 입으로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지금 예를 들어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인데 유가가 오를거 같은지 내릴거 같은지 얘기하는 것입니다. 한 달 후에 원유를 사오면 무조건 배럴당 10달러에 살테니 그때 가서 딴 말 없이 팔도록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한 달 후에 원유가 20달러가 됐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나는 10달러에 사기로 했는데 20달러니깐 앉아서 10달러를 번 셈입니다. 


롤오버 비용

그런데 국제 유가가 오를지 내릴지 애매한 경우에는 지금 가격으로 사고 파는 거래 파트너가 쉽게 찾아지는데요. 


요즘 처럼 몇 달 지나고 나면 유가가 오를 것이라고 누구나 생각하는 시절에는 지금 유가가 30달러인데 몇 달 후에도 30달러로 거래하자고 하면 아무도 안나섭니다. 다들 배럴당 38달러는 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30달러에는 계약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결국 38달러에 계약을 하게 되는데요. 


한 달 후에 배럴당 40달러가 되었다면 나는 38달러에 계약을 했기 때문에 40달러를 사는 게 아니라 38달러에 사야 합니다. 시세 대비 2달러 밖에 수익을 못가져 갑니다. 이때 상대적으로 손해 본 8달러가 바로 롤오버 입니다. 


쉽게 말하면 남들도 다 오른다고 생각하는 시기에 나도 오르는 쪽에 내기를 한다면 생각보다 먹을 수 있는 수익이 적어지게 되는데요. 그것이 롤오버 비용입니다. 




생각해보면 인생도 그렇습니다. 남들이 다 운동화 장사하는데 나도 운동화 팔면 얼마 못 법니다. 이게 바로 롤오버 비용의 본질입니다. 

요즘이 딱 그렇습니다. 요즘은 20달러도 안하는데, 다들 한 달 후, 두 달 후에는 30달러는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롤오버 비용이 발생합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