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뉴딜 정책
그린 뉴딜 정책
이번주에 한국형 뉴딜 정책이 발표됐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만 발표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유럽 등이 거의 비슷한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전 같으면 뉴딜 정책이라고 하면 건물 짓고, 땅 파고 하는 건설업이 위주였을 텐데요. 요즘에는 친환경 사업을 하겠다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정말로 일자리가 생기는 것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린 뉴딜 정책
시장에서는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요?
첨단산업이라는 분야에서 일자리가 많이 생길 수 있을지 걱정들이 많습니다. 한국형 뉴딜정책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입니다. 이 중에서도 친환경 차와 데이터센터가 핵심입니다.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기에는 내연기관의 경우 부품이 3만 개 정도 되는데, 전기차는 그거보다 훨씬 적습니다. 앞에 본네트 텅 비어서 거기도 열면 트렁크 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엔진도 없고 미션도 없으니까요. 그렇게 부품이 필요 없으면 부품 업체들은 일자리 다 잃는거 아니겠느냐 우려가 있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뉴딜의 경우에도 데이터센터 안에 저장매체들이 쭉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처음에 망을 깔고 센터를 구축하고 나면 유지보수 말고는 딱히 일자리가 많이 창출될 것이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첨단산업에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세대가 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장하고 있는 곳에 투자를 해야 일자리가 늘어나는데 지금 당장 우리가 농업에 많은 투자를 한다고 해도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기 쉽지 않습니다. 지금 성장하는 산업에 투자를 하면 그곳에 레버리지 효과가 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자리는 어디서 창출할 수 있나요?
친환경 자동차를 통한 자율주행과 관련된 분야에 연구인력이 많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같은 것도 만들어 놓으면 끝이 아니라 업그레이드를 해야 합니다. 용량을 늘려야 하고, 속도도 늘려야 합니다. 단순히 데이터센터를 짓고 나면 끝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2차, 3차 일자리들이 많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또 첨단 산업이 성장하면 소득분배 개선 효과도 있습니다. 일자리가 많은 곳에 많은 소비와 지출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민간 참여를 유발하는 효과가 필요합니다. 정부가 160조를 투자한다고 했는데, 정부가 모두 투자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부가 114조 정도 5년간 투자를 하고 46조 정도는 민간 참여를 유도해야 합니다.
각 분야에 대표격인 현대자동차와 네이버가 참여를 해서 향후 계획을 발표하면서 민간 기업도 들어오려고 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LG화학 전기차 협력이 기대되는 이유 (0) | 2020.07.20 |
---|---|
국민연금 고갈원인과 해결방안 (0) | 2020.07.19 |
공공주택 분양에 중요한 청약통장 납입횟수 (0) | 2020.07.17 |
생애최초특별공급 물량 증가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