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하기 좋은 시점

반응형

주식하기 좋은 시점


요즘은 주식이건 금이건 부동산이건, 안전자산이건 위험자산 할 것 없이 다 오르고 다 뜨겁습니다. 실물 경기와는 다르게 자산 시장에는 뭉칫돈들이 모이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또 어디에 굴리면 좋을지 모를 대기자금들이 많다는 이야기도 들리고 있습니다. 주변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깐 투자를 안했던 분들도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주식하기 좋은 시점주식하기 좋은 시점



문제는 과연 지금 시작해도 수익을 낼 수 있는지 걱정입니다. 요즘 같은 시기에는 어떻게 투자를 하면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산 인플레이션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가 돈을 풀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피게 되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밖에는 마음껏 돌아다니지는 못하니 돈들이 자산 시장에 몰리게 되는 것입니다. 돈을 금고에만 넣어둘 수는 없으니 부동산, 주식, 금 이런 쪽으로 몰리게 되는 것입니다. 


금융위기 이후에 초저금리 상황이 되면서 그 때도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보면 2009년 부터 2017년 사이에 푼 돈을 최근 몇 개월 동안 다 풀었습니다. 앞으로도 무제한으로 풀 것이라고 약속을 했습니다. 예전에는 돈을 풀기 위해서 안전한 국채만 사들였는데,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위험한 회사채도 사들이고 있습니다. 양적완화와 비교해서 질적 완화라고 하는데요. 


이런 상황이 되니깐 뭉칫돈이 자산 시장으로 들어올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자산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자산 배분

이런 상황에서 주식을 투자해야 한다는 마음에 덜컥 주식부터 사는 경향이 있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산 배분입니다. 부동산에 얼마, 주식에 얼마, 채권에 얼마를 나의 자산 배분으로 가져갈지 결정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주식의 포트폴리오를 결정해야 합니다. 주식을 30%로 가져가겠다고 했으면 바이오는 얼마를 사고, 기술주는 얼마를 사고 등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에 하는 것이 Timing Selection 입니다. 시기를 정하는 것이죠. 이런 순서대로 중요한 것입니다. 


자산 배분의 입장에서 주식을 바라보면 지난 3월의 경우에는 주식 자산이 대폭 줄었을 것입니다. 반토막이 났었겠지요. 그러면 그 부족한 주식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 주식을 매수를 한다면 지금쯤은 원금을 회복하고 오히려 주식 자산이 더 늘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자산 배분의 관점에서 주식을 사고 팔아야지 타이밍을 먼저 보고 들어가고 나올 것만 보면 손해를 보기 쉽상입니다. 




주식하기 좋은 시기?

이런 관점에서 보면 지금이 주식 투자를 하기 좋은 시기인가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매우 개인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본인의 자산에 주식이 없는 분은 주식의 양을 늘려가야 하는 시점이고, 본인의 자산에 주식 비중이 좀 많다 싶으면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인 것입니다. 


그 비중을 결정하는 것은 경제 상황이나 세계 흐름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그런 흐름과 정세를 보는 눈을 키우기 위해서는 공부를 꾸준히 해야 하는 것이고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