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반응형

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우리가 자주 쓰는 앱들은 운영체제에 따라서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다운로드 받은 앱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면 앱을 만든 회사가 다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를 해줄 수 있게 만든 구글과 애플이 수수료를 가져 갑니다. 


이 수수료가 너무 과하다고 해서 논란이 있습니다. 오늘은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졌는데, 수수료를 내야 하는 회사의 입장은 어떤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논란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논란


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플레이스토어에서 어떤 앱을 받았을 때 유료 앱인 경우에 결제 금액의 30%를 구글을 가져 갑니다. 그러나 무료 앱일 때는 어떨까요? 무료 앱이라서 결제 없이 다운로드를 받았습니다만 그 안에서 정액제나 아이템을 구매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면 그 때마다 구글이나 애플의 앱스토어에서도 수수료를 가져가는 것입니다. 


게임의 경우에는 애플이든 구글이든 앱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결제에 대해서 30%씩 수수료로 가져갔습니다. 내가 게임을 잘 하기 위해서 아이템을 구매하면 게임 회사에서 돈을 다 갖는 그런 시스템이 아닌 것이죠. 



웹툰의 경우에는 네이버의 경우 쿠키 라는 것을 구매 해야 합니다. 데스크탑에서 네이버 웹툰에서 쿠키 10개를 사려고 하면 1,000원 결제가 필요하고, 안드로이드 폰에서 네이버웹툰 앱을 통해서 쿠키 10개를 사도 1,000원 결제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애플의 아이폰에서 쿠기를 10개를 산다고 하면 1,200원이라고 나옵니다. 웹툰 업체가 애플에 떼어줄 수수료까지 감안해서 소비자로부터 금액을 높게 받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게임에서만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수수료를 떼어 갔었는데, 웹툰이나 메신저 등과 같은 일반적인 앱에서도 애플과 같이 수수료를 떼어가겠다고 밝힌 것이 이슈의 중심입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국내 업체들에게 수수료를 받겠다고 메일을 보낸 상태이고, 다른 나라에도 똑같이 수수료 정책이 적용되는지 봤는데, 현재까지는 국내 업체에만 메일이 전달된 상태로 보이고 있습니다. 일종의 국내 업체가 테스트베드가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왜 한국만 먼저 시행되나요?

아마도 한국이 안드로이드의 사용 비중이 높아서 일 것 입니다. 다른 국가들은 iOS의 비중이 높은 반면에 우리나라는 삼성, LG 폰에서는 안드로이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 보고 전세계로 확장할 계획인 것 같습니다. 


물론 국내에서만 수수료 수익을 많이 받아도 굉장한 이득일 것이고요. 플레이스토어의 거래액이 작년에 6조 원이 넘었고, 앱스토어는 2조 원 정도 됩니다. 국내에서는 애플보다 안드로이드가 3배 정도 거래액이 많은 것이죠. 


모바일 말고 웹페이지에서 결제 하면 되지 않나요?

이것은 애플의 정책에 어긋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예 앱 자체를 앱스토어에서 삭제해버리겠다고 횡포를 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몇몇 대기업의 경우에는 수수료를 30%가 아닌 20%로 별도의 협상을 하기도 합니다. 뒤로 수수료율을 따로 협상하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