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관점 변화

반응형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관점 변화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라고 해서 우리나라만 사고파는 것이 아니죠. 외국인 투자 비율이 30%가 넘는데요. 대형주들만 따지면 40%가 넘습니다. 이렇다 보니깐 외국인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따라서 그 영향을 고스란히 받게 되는데요. 


최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시점에서 지수를 끌어올리는 큰 주체가 외국인입니다. 2400선까지는 개인의 역할이 컸지만 2400 이후에는 외국인의 역할이 상당히 컸습니다. 올 10월 전까지는 외국인이 24조원이나 매도를 할 정도로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상황이었는데, 11월 들어서 태세전환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관점 변화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 관점 변화


외국인이 최근 한국주식을 사는 이유

외국인이 최근 한국 주식만 산다면 한국 시장의 매력이 그만큼 높아졌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겠는데요. 그러나 최근 아시아 시장의 흐름을 보면 한국 시장 뿐만 아니라 대만, 일본 시장에서도 11월 들어서 외국인의 매수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이 상당히 큰 특징입니다. 11월에 대만, 일본 주식시장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코로나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 일본도 확진자추세가 늘어나고는 있습니다만 미국이나 유럽보다는 상대적으로 심한 정도가 약합니다. 그러다 보니 코로나의 영향이 적었던 한국, 대만, 일본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의 자금들이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이 된 것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외국인의 매수 흐름이 지속적이냐 일시적이냐는 조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겠습니다. 


외국인은 한국 시장을 장기적으로 어떻게 생각할까요?

MSCI 지수 내에서 한국의 비중이 어느 정도 되는지가 외국인이 한국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을 아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MSCI 지수 내에서 한국은 아직까지 이머징 마켓으로 분류됩니다. 전체 MSCI 시장 내에서 한국은 1.6% 밖에 안됩니다만 이머징 시장 내에서는 한국의 비중이 상당히 큽니다. 한국의 비중은 이머징 마켓 내에서 13%로 11% 대만하고 상당히 큰 격차를 보이며 1위인 중국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주식 시장이 내국인만 거래할 수 있게 하다가 외국인의 투자 비중 한도를 점차적으로 늘리고 있는데요. 중국으로의 투자가 늘면 늘수록 그만큼 피해를 본 것이 한국입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 상황으로 한국과 대만 등으로의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국과 대만으로 외국인의 투자가 늘어난 이유는 아무래도 반도체 산업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TSMC가 대만 전체 시가총액의 30%를 차지하고 있고, 삼성도 한국 전체 시가총액의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로 인해서 반도체 업계 호황에 대한 기대로 대만 쪽을 먼저 매수했다가 이제는 한국으로까지 그 투자가 번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단, 외국인이 주식을 사더라도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공통적인 현상은 대형주중심으로 산다는 것입니다. 지수는 전체적으로 많이 올랐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양극화가 상당히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시장이 바뀌어야 할 점

한국 시장이 외국인들로 하여금 더 매력적인 시장으로 느끼게 하려면 장기적으로 수출 지역을 다변화 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출 품목도 다변화야 합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지만 규제 개혁이 있겠습니다. 


많이 들어 오셨겠지만 가장 기본적인 내용들이 중요한 상황입니다. 


중국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5개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60%가 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5개국 수출 비중을 40%로 줄이면서 수출하는 나라들을 다변화 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 같은 경우는 2000년대 5개국 수출 비중이 55%  였는데, 올 10월 기준으로 보면 60%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주식 전망  (0) 2020.11.29
ETF vs 개별 주식 투자  (0) 2020.11.28
유동성 장세에 장사 없다  (0) 2020.11.26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장점  (0) 2020.1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