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무자본 갭투자 사기 주의
빌라 갭투자 사기 주의
어떤 동네에 새로 분양하는 빌라의 분양가가 그 동네의 비슷한 새 빌라의 전세 가격과 비슷한 경우가 있습니다. 전세 가격이 많이 오를 때이죠. 그럴 때 무자본 빌라 갭투자 사고 라는 사기 비슷한 것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자본 갭투자 라는 것이 무엇이고, 그런 집에 전세로 들어가는 분들, 혹은 매매하시는 분들이 자칫 놓치기 쉬운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자본 갭투자
일반적인 갭투자 라고 하는 것은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매매가 3억에 전세가 2억 5천 만원이면 나는 5천 만원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나중에 시세가 오르게 되면 차익을 거둘 수 있는 것이 갭투자 인데요.
무자본 갭투자는 이 5천 만원 조차도 필요하지 않은 것입니다. 전세가와 집값이 똑같은 것입니다. 깡통전세 라고 하지요. 아무런 자본금 없이 취득세 정도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 세입자나 집주인 모두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가 비슷한 빌라는 잘 안들어 가지 않나요?
일반적인 경우는 좀 꺼려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빌라의 경우 시세가 딱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옆집이 3억 5천인데 새 빌라가 4억이네? 하면서 들어가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경우에는 소유보다는 전세를 선호합니다. 요즘 같은 때는 빌라를 소유했다가는 무주택 기록이 사라지니깐 카드가 하나 날라가니깐요. 전세 수요는 많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이런 게 사기가 가능하게 됩니다.
어떤 사기가 가능한가요?
건축주는 새로 지은 빌라를 빨리 분양하고 싶습니다. 집을 보러 온 집주인한테 세입자는 우리가 구해주고 필요하면 웃돈까지 주겠다고 합니다. 급전이 필요하거나 신용불량자한테는 혹 할 수 있는 내용인 것입니다. 그래서 돈 한 푼 없이 빌라를 소유하게 되는데요. 이게 보통 전세 시세보다 비싼 가격에 형성됩니다. 처음에 들어오는 세입자는 잘 모르고 들어오게 됩니다만 그 동네 빌라 시세가 낮은 가격에 형성되어 있다 보니깐 아무도 다음 세입자로 들어오지 않는 것입니다.
보통 전세 들어갈 때 확정일자 받으면 보증금을 떼일 염려는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집주인한테 보증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확정일자는 순위의 문제지 집주인의 자본 여력에 따라서, 다음 세입자가 들어오냐 안들어오냐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기 떄문입니다.
아파트가 아닌 빌라의 경우 전세보증보험이 어찌 보면 유일한 안전장치 입니다. 보증보험이 안될 수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는 본능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는 인식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대출 규제 (0) | 2021.05.04 |
---|---|
아파텔 가격 싼 이유 (0) | 2021.04.30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0) | 2021.04.27 |
많은 정보, 낮은 수익률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