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본드는 무엇인가요?
사무라이본드는 무엇인가요?
요즘 우리나라 기업들이 일본에서 사무라이본드, 사무라이채권 이라는 것을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한다고 합니다. 그게 무슨 뜻인가요?
사무라이본드는 무엇인가요
본드는 채권
사무라이본드라고 할 때 '본드'는 영어로 우리도 잘 아는 단어죠. 둘 사이를 밀착시킨다, 접착시킨다 라는 뜻이 있어서 접착제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돈을 빌려주고 받는 본드로 붙인 것과 같은 밀착된 계약 관계 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그래서 본드는 채권 이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채권은 돈을 빌리면 빌려준 사람들에게 써주는 일종의 차용증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본드를 발행했다~ 라고 하면 사람들한테 돈을 빌렸다는 뜻이고요. 글로벌 본드를 발행했다고 하면 해외에서 돈을 빌렸다 라는 뜻입니다. 해외에서 빌렸으니 외국 돈, 위안화나 엔화나 달러로 돈을 빌려온 것이겠죠.
이 본드는 어느 나라에서 돈을 빌렸느냐에 따라 이름이 재밌게 붙습니다. 일본에서 돈을 빌려오면 사무라이본드, 쇼군본드 라고 부르기도 하고요. 호주에서 빌려오면 캥거루본드 입니다. 홍콩에서 빌려돈 채권은 딤섬본드 입니다. 돈을 빌려온 그 나라의 특산품 이름을 가져다가 붙입니다.
어떤 회사가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해서 100억 엔을 조달했다고 하면, 이 회사가 일본에서 일본 투자자들에게 돈 빌려달라고 하고 100억 엔을 빌려왔구나 그렇게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글로벌 본드
요즘 미국의 금리가 높아지니까 기업들이 이자가 싼 일본에 가서 엔화로 돈을 빌려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에서 돈을 빌리면 이자가 0.5%도 안됩니다. 문제는 그렇게 일본 돈으로 원금을 갚아야 하는데 원금 갚을 시기가 됐을 때 지금보다 일본 돈의 가치가 지금보다 많이 올라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그렇게 고민들인 것입니다.
예전에는 한국 기업들이 해외에 돈 빌리러 나가면 아무도 거들떠 보지도 않아서 글로벌본드 발행이 어려웠는데요. 정부가 대신 가서 빌려오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요즘에는 우리 나라 기업들의 신용도가 많이 높아져서 실제로 해외 채권 발행도 많이 되고 있습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낮은 경제성장률은 왜 큰일인가요? 현상유지만 하면 안되나요? (0) | 2018.11.14 |
---|---|
연말 기부금도 카드 결제로 (0) | 2018.11.13 |
0기 신도시 생성 과정 (0) | 2018.11.10 |
연말정산 두달 전부터 슬슬 챙겨야 할 신용카드 공제 (0) | 2018.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