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경제성장률은 왜 큰일인가요? 현상유지만 하면 안되나요?
낮은 경제성장률은 왜 큰일인가요? 현상유지만 하면 안되나요?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낮아져서 큰 일이라고 하던데요. 가만히 생각해보면 경제성장률이 0% 라도 마음에는 안들지만 현상유지는 한 거니까 괜찮은거 아닌가요. 경제가 1% 라도 성장하더라도 성장은 성장인 것인데 왜 그걸 그렇게 나쁘게 보는 걸까요.
경제가 0.1% 성장 하더라도 성장하면 성장은 성장이지 그럼 된거지 왜들 그렇게들 호들갑이냐 하는 질문입니다. 경제가 0.1% 성장할 때 모든 국민들의 소득이 0.1% 씩 다 늘어나면 약간 아쉽기는 하지만 그렇게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국민들 중에는 경제가 아무리 어려워도 소득이 10%, 20% 씩 많이 늘어나는 계층들이 반듯이 있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경제성장률이 0.1% 라는 것은 거꾸로 소득이 10%, 20% 씩 감소하는 분들이 꽤 많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아진다는 것은 그렇게 소득이 낮아지는 분들이 많이 생긴다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더 걱정스러운 것입니다.
경제성장률이 예를 들어 작년보다 0.1% 감소했다면 만약 그 효과가 전국민들한테 골고루만 분담이 되면 그 충격이 별거 아닌건데요. 대게는 이런 충격은 경제 기반이 약한 계층한테 집중이 되거든요. 예를 들어서 아빠 월급이 3만 원이 줄었다면 모든 생활비를 조금씩 줄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대게는 만만한 애들 용돈 확 줄여버리는 경우가 많잖아요.
마찬가지로 종업원이 100명인 회사가 있으면 경기가 안좋으면 각자 월급을 조금씩 덜 가져가자~ 라고 하는 게 아니라 대게는 2, 3명쯤 해고하고 해결을 합니다. 그래서 경제성장률이 0.1% 정도 줄어드는 게 숫자로는 0.1%지만 어떤 가정에서는 아빠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이고요. 생존을 위협 받는 식으로 나타납니다. 그게 걱정입니다.
경제성장률 계속 높이는 것도 중요한데, 이렇게 과실이나 피해가 일부 계층한테 집중되지 않는 경제구조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걸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훼손된 지폐 수표 은행에서 찾는 법 (0) | 2018.11.15 |
---|---|
지방 깡통주택 속출,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는 법 (0) | 2018.11.14 |
연말 기부금도 카드 결제로 (0) | 2018.11.13 |
사무라이본드는 무엇인가요? (0) |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