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유투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요즘 초등학생들한테 장래희망이 뭐냐고 물으면 유투버, BJ 이런 답이 제일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유투버 라고 하고, 아프티카TV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BJ 라고 하는데요. 요즘 1인미디어 운영하는 분들이 돈도 꽤 많이 버신다고 하죠.
어떻게 수익을 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투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유부브 광고
뉴스에 보니까 어떤 분은 1년에 17억 번대요. 입이 떡 벌어집니다. 대부분은 광고수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광고도 두 가지 정도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맨 앞이나, 중간중간에 붙는 광고가 있습니다. 유투브의 모회사인 구글이 유통시키는 광고들인데요. 구글이 영업해온 광고주들의 광고를 유투브 영상에 붙여줘서 유통을 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광고를 많은 사람들이 보면 볼 수록 수익이 더 나는 구조입니다.
두 번째는 좀 인기 있는 유투버의 경우에는 기업에서 연락이 갑니다. 우리가 광고 제작비 이만큼 줄테니 영상에서 우리 제품 좀 노출을 시켜달라 이런 형식입니다. 이러한 형식은 부르는게 값입니다. 최소 50만 원에서 5,000만 원까지 받는 유투버들이 있다고 합니다.
유투브 광고 단가
그런데 아까 말씀드린 구글에서 유통시키는 광고들은 생각보다 단가가 낮습니다. 그 사람의 인기도나 보는 연령대로 빅데이터 분석을 해서 차등적으로 지급이 되기는 하지만요. 한 명이 광고를 볼 때마다 1~2원 사이의 수익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10,000명이 보면 10,000원을 주는 겁니다.
구글이 글로벌 기업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뉴욕에서 광고를 보면 뉴욕의 광고가 붙습니다. 그건 또 단가가 7~8배 뛴다고 합니다. 외국 사람들이 많이 보는 채널이 돈을 더 많이 받습니다. 외국인들이라고 하면 우리나라보다 소득이 높은 국가들의 사람들을 말하고요. 그러한 사람들은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구매력이 높기 때문에 광고주들은 광고료 더 내더라도 그런 쪽에다 광고하는 겁니다.
유투브 광고 조건
돈을 벌려면 일정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채널을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 되어야 하고요. 그리고 영상 조회수를 4,000회를 넘어야 '저 광고료 수익 낼래요~' 라고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투브 직원이 그 채널이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평가해서 통과가 되면 그 때부터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또 웃긴게 광고가 붙어도 성격 급한 사람은 건너뛰기 누르잖아요. 그 광고 다 안보고요. 그러면 그 광고 수익이 한 푼도 안돌아 갑니다. 팬들은 의리상 광고를 봐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광고 수익이 차곡차곡 모여서 100달러 이상이 되어야 유투브 측에서 외화송금으로 계좌 이체를 해준다고 합니다.
아프리카TV 수익
아프리카TV는 별풍선 이라는 수익 구조가 있습니다. 주로 별풍선을 쏴 준다고 하죠. 아프리카TV BJ들의 인기도에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별풍선 하나당 70원을 받고요. 어떤 사람들은 60원 정도를 받아 간다고 합니다. 결국은 이용자들이 내는 거죠. 광고주들이 내는 것이 아니라요.
이렇게 만드는 사람들은 세금을 내나요?
아프리카TV야 우리나라 회사니까 별풍선 정산해서 줄때 거기서 3.3% 원천징수 하고 지급을 합니다. 그래서 나중에 BJ들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그러나 유투브는 모회사가 구글이라고 했잖아요. 구글이 다국적 기업이라서 일일이 우리나라에 소득이 얼마 발생했다고 신고를 안하거든요. 그래서 유투버들은 잘 챙겨서 소득을 신고해야 합니다.
대략 3가지 방법으로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쉽게 개인 사업자 등록하고 소득세 부가가가치세 내는 방법이 첫 번째 있겠습니다. 그러나 부가가치세에 있어서는 수출하는 재화에 있어서는 세율을 0%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일종의 영상 콘텐츠로 수출하는 거라서 부가가치세는 0 세율이 적용됩니다.
수익이 몇 억되는 분들은 법인으로 전환해서 세금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인 세율보다 법인 세율이 더 싸니까요. 아니면 기획사에 소속된 사람들도 있습니다.
국세청은 잘 확인하나요?
국세청에는 외화 1,000달러 이상이 입급되면 자동 통보가 되니 과세에 문제가 없다고 하는데요. 문제는 그 이하를 버는 사람들이겠죠. 그래서 이번에 국감에서는 현미경 조사를 하겠다고 했는데 실제로 세무사들에게는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 (0) | 2018.11.20 |
---|---|
천 개가 넘는 산업단지들 왜 필요할까 (0) | 2018.11.19 |
미국 외환보유고 동날 가능성 (0) | 2018.11.17 |
주식시장에서 기관은 누굴 말하는 건가요? (0) | 2018.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