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알아야바꾼다] 9. 조세와 재정

반응형



1. 국가의 역할

- 조세에 의한 재정

. 돈을 받아와서 지출


- 규제에 의한 조정

. 사회주의 / 자본주의 국가

사회주의 : 시장의 역할은 최소화하고 국가가 조정하는 사회를 말한다.

자본주의 : 국가의 역할은 최소화하고 시장이 조정하는 사회를 말한다.

. 시장 경제 : 부의 생산/분배를 시장에 맡기는 시스템을 말한다.


- 직접 생산

. 한전과 같은 기업.




2. 한국 조세 제도의 특징

- 한국 국민들은 조세에 관심이 없다.

. 국민들이 사회 체제를 만드는 과정에 참여해 적이 없다.

. 그래서 관심이 없다.

. 한국의 조세 체제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했는지 역사 기록이 없다.


- 한국은 일본에서, 일본은 미국에서 조세 체제를 가져 왔다.

. 한국의 조세 체제의 원조는 미국이다

. 일본이 미국의 것을 가져와서 수정한 것을 우리가 가져와서 다시 수정하였다.

. 우리나라는 GDP 대비 조세의 비중이 낮은 나라이다.

: 미국, 일본, 한국이 대표적인 나라이다.

: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체제를 가져오기만 해서 다른 사회 제도와 조세 제도 간의 정합성이 맞지 않는다.

: 국민들의 체제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관심도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 선거를 하면 국가 재정의 조세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 선거가 끝나면 조세 얘기를 공론화하지만,

. 선거가 다가오면 조세 얘기를 아무도 안한다.

. 본인 지지도가 하락하기 때문에 아무도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다.


- 우리나라 조세의 목적은 분배가 아닌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우리나라는 미국형 조세 체제이다.

: 미국형 

GDP 대비 조세 비중 낮다.

우리나라는 미국 조세를 가지고 오면서 조세를 해서 분배에 쓰지 않고 성장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서구의 조세는 분배를 위한 목적이다.

최대한 조세를 걷어가 민간에 남겨둬서 있는 사람이 세금으로 뺏기는 비중을 줄여서 투자를 하도록 돋는 체제이다.

일본은 분배 비율이 높아지도록 조세 제도가 점점 변경되나 한국은 여전히 성장에만 사용한다.

유럽형 

GDP 대비 조세 비중 높다.

. 사회 전반적으로 분배에 대한 인식이 없으니 세금을 내서 어떻게 혜택을 받는지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세금이란 단지 뺏기는 라고만 국민이 인식한다.

. 소득 재분배의 기능이 거의 없다.

. 세금을 안 내는 사람이 많고, 중에 세금 대상이 아닌 사람이 많다. )부동산 임대 소득

: 주식을 팔아서 , 부동산을 팔아서 얻는 소득에 대한 세금이 적다.

: 소득 공제에서 세액 공제로 바뀐 것은 매우 일이다.

그것 때문에 박근혜 정부 지지율이 5% 떨어졌다.

: 우리는 세금을 적게 내고, 혜택을 적게 받는 구조다.

적게 내는 사람은 많은 사람이 적게 낸다.

부자한테 굉장히 좋은 조세 제도이다.




3. 규제가 강한 우리나라

- 그 동안의 성장 위주의 경제 체제와 연관이 깊다.

- 조세는 적게 걷고, 경제 활동은 투자 쪽으로 집중하다 보니 자기 돈을 쓰지 않는 규제 쪽으로 간다.

. 관치금융 또는 지도금융이다.

. 돈을 기업에 주고, 화폐를 많이 풀어서 생기는 인플레이션의 피해는 국민들이 고스란히 본다.

. 관세 장벽으로 인해 외국 물건을 비싸게 사고, 외국으로는 싸게 물건을 판다.

- 이런 하나하나가 국가 재정에 쓰이지는 않고 활동을 조정하려다 보니 정부에 권력이 주어진다.

- 관료 입장에서는 규제를 하는 것이 편하다.

. 우리는 세금을 시행령에 위임한 나라다.

. 다른 나라는 국회를 통해서 조세를 결정한다.

. 기재부 내에서도 인사 교류가 없고 자기네들끼리만 결정한다.



4. 조세 중에 사회 복지에 쓰는 분야가 너무 적다.

- 노령층에 대한 복지 비용은 국가가 안하겠다.

- 노령층은 자식들이 알아서 챙겨라.

- 국민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노인 문제를 풀려고만 하니 답답하다.




5. 국회의원들 이런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 아무도 이야기를 못한다.

- 초선 의원들은 멋모르고 용감한데,


- 국회의원이 국민을 대표하지 못한다. 


- 인구 비례로 국회의원을 뽑지 못한다.

. 인구 많은 도시의 국회의원보다 인구 적은 농촌의 국회의원 비율이 높다.

. 소선거구제도의 한계이다.


- 비례대표 수도 줄이고 있다.


- 국회의원 명당 1 예산 10 정도 사용한다.


- 비례 250 지역구 250 = 500명으로 국회의원을 늘리면 (추가로 200명이 늘어난다.)

. 그러면 1년에 10 * 200 = 2000억을 쓴다.

. 헉 그럴 돈이 어딨어! 라고 욕을 하는데,

. 1 우리나라 예산이 400조이다. 200 늘려서 잘못된 곳에 사용하는 예산 1조만 잡아도 국민들 한테는 이익이다.



6. 대책

- 조세 대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부동산 임대 소득세를 증가시킨다.

. 건강보험료를 소득에 연계 시킨다.

: 소득이 있는데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이 많다.


- 국민연금의 상한을 올리는 방법

. 지금은 일정 금액 이상부터는 똑같은 국민연금을 내고 있다.


- 재산세 구조 변경

. 금융소득세의 대부분인 이자 소득은 원천 공제한다. 15.4%

: 이자 소득이 낮을 아니라 역진적이다.

관원대리 체제의 폐해 중 하나다.

리가 하는 일을 국민들 한테 알려주려 한다.

: 금융소득세가 높은 사람은 소득공제 받아 실효세율이 10% 안된다.

: 금융소득세가 적은 사람은 꼬박꼬박 15% 낸다.

: 국세청이 데이터를 준다

: 누가 얼마 만큼을 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개 안한다.


. 원천징수를 하지 않고 종합소득으로 걷어들이는 방법을 실행한다.

. 일 액수 금융소득까지는 면세를 하자.

: 상위 20% 전체 70% 낸다.

: 세율도 15% 아닌 올리자.


- 세금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에 대한 구조가 바뀌어야 한다.

. 복지 재정을 먼저 국민들에게 제공하여 유지하려면 재정 문제를 막고자 조세를 늘려야 한다.

: 균형 재정 아니면 나쁜 사람이라는 인식이 아직 팽배하다.

: 현재는 사회 복지 제도가 부족하니 개체수가 줄어서 사회 시스템을 지탱할 없는 구조이다.

: 노인과 아동에 대한 복지 재정을 먼저 쓰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러나 우리는 맨날 N 으로 나눠 먹자는 얘기만 한다. 보편 복지/선별 복지로 싸운다.

: 재정 적자를 일으켜서 라도 노인과 저출산을 잡아야 한다. 문제의 뫼비우스의 띠에서 벗어날 있는 열쇠가 기에 있다고 본다.

. 조세 제도에 대해 국민들한테 알려주는 체제가 필요하다.

. 한 사람들 중에 저축해서 부자 사람 없고, 대부분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었다.

: 노년에 있는 유일한 돈은 부동산이라 생각한다.






유투브 '경제, 알아야 바꾼다'를 듣고 

개인적으로 기록한 공간으로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