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회사들이 내는 망사용료란?

반응형

콘텐츠 회사들이 내는 망사용료란?


네이버, 다음, 페이스북, 유투브 등 콘텐츠 기업들도 통신사들한테 망사용료 라는 것을 따로 낸다고 뉴스에서 들었습니다. 

망이라고 하는 것이 인터넷망 같은데요. 

인터넷망 사용료는 소비자들이 다 내고 있는데 인터넷 망 사용료를 또 내는 건가요?


소비자들도 네이버, 다음, 구글 이런데 접속하려고 통신사에 요금 내고 있는데요. 

그런 소비자들한테 콘텐츠를 제공하는 예를 든 회사들도 망 사용료를 통신사에 사용료를 따로 냅니다. 

그 이유는 통신 회사들이 양쪽에 다 내고 하니깐 그렇죠. 

생각해보면 이상할게 없기도 합니다. 

이렇게 양쪽에서 돈을 받는 서비스들이 꽤 있습니다. 

동물원이나 놀이공원, 찜질방과 같은 곳에서는 입장하는 손님들한테도 돈을 받고요. 

또 그 안에서 동물원이나 놀이공원 안에서 매점을 운영하는 상점에서 월세를 따로 받습니다.

통신 회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콘텐츠 회사들이 내는 망사용료콘텐츠 회사들이 내는 망사용료



일반 소비자들한테도 망사용료를 받고, 그 소비자들한테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들한테도 망사용료를 받습니다. 

얼마 받는지는 따로 정해진 요금표는 없습니다. 

찜질방 안에서 매점 하고 싶으면 그거야 협상하기 나름이잖아요. 

IT 회사들이 통신사에 내는 망사용료도 그때그때 다른데요. 

다만 구글, 유투브 등 외국계 회사들이 내는 망사용료가 국내 업체들이 내는 망사용료 보다 더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같은 회사들은 서버가 외국에 있거든요.

그러다보니 사용자들은 외국에 서버가 있는 외국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통신 회사들은 외국까지 인터넷 선을 연결해줘야 하는데요.

통신회사들은 외국까지 나가려면 돈이 더 많이 듭니다. 

그래서 외국 회사들에게 서버를 한국에 가져다 놓으라고 요청합니다. 

서버를 한국에 가져다 놓으면 망사용료를 할인해준다는 조건으로 협상이 들어가게 됩니다. 


친절한 경제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