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주식시장 변동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주식시장 변동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변동성이 커진 금융시장에 대해서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어떤 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시장은 많이 떨어졌습니다.
설 연휴를 마치고 개장한 한국 주식시장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3%가 넘게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원달러 환율도 8원이 오르면서 1176원까지 올라갔습니다. 설 연휴 동안 닫혀 있었던 주식시장이 한꺼번에 코로나 여파를 받은 모습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조금 다행히도 그 다음날은 미국 증시가 올라서 과거처럼 일방향으로 떨어지는 모습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 안심하긴 이르죠.
과거 사스, 메르스 때 금융시장은 어땠나요?
주가 하락이 장기화되지는 않았습니다. 2003년도 사스가 발병했을 때는 글로벌 시장이 전체적으로 약했던 시기였었습니다. IT 버블이 붕괴되면서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사스 문제가 붉어졌을 경우에는 주가가 이미 바닥이었기 때문에 사스의 당사자였던 홍콩 시장만 장기간 조정이 이뤄졌고, 한국 주식은 거의 영향을 안 받았습니다.
2015년 메르스 때도 주가 시장이 장기화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중국이 근원지라는 점에서 2003년 사스와 많이 비교를 하는 것 같은데요. 중국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그때와 많이 달라졌지만 중국인들이 한국으로 와서 많이 소비하는 소위 화장품주들이 많이 떨어졌는데요.
2003년도 중국 1인당 GDP는 1,280불 정도 되는데, 지금은 10,000 달러 까지 갔으니깐 전체적으로 중국이 미치는 영향은 2003년 사스 때보다 훨씬 크다고 봐야겠는데요. 경험적으로 보면 두 시기 모두 금융시장이 장기간 타격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중국의 악재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앞서 언급한 대로 중국의 위상이 많이 높아지고, 한국의 중국 의존도 또한 많이 높아지면서 장기화된다면 중국 경제에 영향을 받을텐데, 시장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전염병에 대해서 투자자들이 깊은 통찰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과거의 학습 효과대로 반응을 할 뿐입니다. 과거 사스, 메르스 때도 시장이 그렇게 크게 받지는 않았습니다. 백신의 개발이나 인류가 가진 대응력을 믿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 보면 전염병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금융시장은 과거의 반응식대로 반응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장기간 악화되지 않아서 시장도 영향을 덜 받았던 것인데, 예상과 다르게 리스크를 통제하지 못한다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만 시장은 그것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보니 다른 요인들을 같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도 지금 한국 경기는 좋아질 여력이 있어 보이고요. 글로벌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중앙은행들이 저금리 정책을 쓰고 있고, 통화량을 늘리려고 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너무 나쁘게 보는 것도 편향될 수 있는 시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대비할 점
가장 큰 걱정은 중국 자체입니다. 중국이 전세계 공장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실은 중국은 2013년부터 서비스업의 비중이 제조업보다 더 높아졌습니다. 여행이나 택배 같은 것이 제조업보다 중국 경제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된다면 중국이 받는 타격이 글로벌보다 클 수가 있습니다. 또 그 과정에서 전세계 투자자들은 한국을 중국과 거의 연동이 되는 투자국으로 보는 시각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겠습니다.
환율에 미치는 영향
상황이 더 나쁘게 되면 지금보다 더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중무역분쟁이 완화되면서 위안화가 절상이 되다가 지금 다시 절하되고 있는데요. 위안 달러 환율과 원달러 환율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똑같이 움직입니다. 한국 같은 경우는 중국과 정말 똑같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옆나라지만 정말 다른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투자자들의 지도에서는 같은 색으로 칠해져 있다는 것이 생소하고 신기하기도 합니다.
'팟캐스트,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자영업자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0) | 2020.01.31 |
---|---|
코로나 바이러스 KF94 마스크 가격 올려 (0) | 2020.01.31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원인 및 경제적 여파 (0) | 2020.01.29 |
우한 전세기 비용은 누가 내나요? (0)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