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요일제 구매팁

반응형

마스크 요일제 구매팁


마스크 요일제

마스크 5부제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마스크 구하기가 어렵다 보니깐 정부에서도 뭔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크게 보면 3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겠습니다.


일단은 공적의무공급 물량을 기존보다 늘렸습니다. 그리고 1인당 구매 개수를 제한하는 부분, 그리고 판매가격을 어느 정도 통일하거나 제한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마스크 요일제 구매팁마스크 요일제 구매팁


공적의무공급 물량 증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마스크가 1,000만 장 생산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전까지는 그 중에 50%를 공적의무공급 물량으로 지정을 했었습니다. 공적의무공급이라는 것은 의료기관이나 취약계층나 학교, 약국 등에 보급하는 물량을 말합니다. 나머지 물량은 업체가 이윤을 취해야 하니깐 개인적인 판매에 사용됐었습니다. 


이렇게 업체 공급하는 공적의무공급 물량을 80%까지 늘려달라고 정부가 생산업체에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무래도 나눠지게 되는 물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기관에 공급되는 물량 자체는 많아지게 되니 반대로 개인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물량은 줄어들 것입니다. 전체 생산량이 늘지는 않았으니까요. 하루 생산량도 현재 1,000만 장에서 1,400만 장까지 늘리겠다고 정부는 발표를 했지만 생산 업체가 담당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협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마스크 생산량 증가 가능한가요?

가장 걱정스러운 부분이 업체 입장에서는 마스크 하나 팔아 이익이 많이 나면 어떻게 해서든 공장을 24시간 가동해서 마스크를 생산할텐데요. 기계를 더 사든 사람을 더 뽑던가 하지요. 그러나 대부분 마스크 원가에서 +100원 정도 더 붙인 가격으로 제한을 해버리면 그냥 하루에 8시간만 일하지~ 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조달청에서는 물량을 주도적으로 관리를 해서 업체들한테 생산량 증가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체들마다 사정이 다 다릅니다. 공장을 운영하는 업체마다 입장을 내놓았는데요. 어떤 공장은 출고가 700원 정도면 충분하니 업체마다 1,000원 정도에 내놓으면 적당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물론 그 업체는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생산량이 많은 최대 업체였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분석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떤 업체는 시설도 늘리고 사람도 더 뽑아서 생산량을 늘리고 있는데 갑자기 조달청에서 가격을 제한해버리면 오히려 손해인지라 물량을 맞출 수 없다고 하는 곳도 있었습니다. 누군 맞고 누군 틀린 것이 아니라 공장의 사정에 따라서 다양하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적용할 수 없으니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인당 2장씩 구매 가능

1인당 2장씩만 살 수 있는 제도도 추가적으로 고민해봐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아마 지금 주변 분들 물어보시면 어느 정도 비축이 되어 있는 분도 계시고, 하나도 없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이게 다음주 부터 요일제로 바꾸고 1주일에 2매로 구입가능수량을 줄여버리면 급하신 분들은 더 필요하고,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안 사실텐데요. 안 사신 분들의 여유 물량을 더 필요하신 분들이 더 사갈 수 있느냐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현재는 불가능합니다. 약국 마다 지역 마다 남는 물량도 있을텐데요. 


또한 마스크를 구매하러 나가는 것도 일종의 외출이기 때문에 1주일에 한 번씩은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외출을 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공급이 부족해서 안되겠지만 어느 정도 공급이 안정되면 한 달에 한번씩 한꺼번에 구매가 가능하게 바뀐다거나, 식구 숫자에 맞춰서 가가호호 배달해 주는 것도 한 방법이겠습니다. 


마스크를 구할 수 있는 팁


마스크 요일제를 시행해도 마스크를 구하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서 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는 작은 팁 하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1층에 있는 약국들은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서 마스크를 사러 가도 이미 다 팔리고 없을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약국들 중에는 1층이 아니라 병원과 같이 연계해서 병원 옆에 있는 약국도 있습니다. 3층에 병원이 있으면 3층에 약국이 있는 것이죠. 이런 1층이 아닌 약국에는 상대적으로 마스크를 구할 수 있는 확률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스크의 경제학에서 생각해 볼 점

마스크 공급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늘 자본주의 경제를 하다가 이제와서 잠깐 사회주의 계획경제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계획경제와 자본주의의 장단점을 잠깐 피부로 느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긴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서로 이해하고 좀더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가도록 고민을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한국은 제조국가다 보니 인구 수에 비해서 마스크 생산 업체도 많아서 다른 나라에 비해 그나마 나은 편이니 조금만 더 힘을 내도록 합시다. 


이상으로 마스크 요일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좀더 마스크를 잘 구매할 수 있는 팁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